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코드 위의 하루 (A Day on the Code)
Chapter 5 정리 - 형상관리와 변경관리의 모든 것 본문
📌 과목 개요
- 과목명: 소프트웨어공학
- 교재: 『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공학 2판』 - 김치수 저
- 중간고사 범위: Chapter 1 ~ Chapter 6
- 시험 스타일: 형상관리 정의, 변경관리 절차, 버전 관리 개념, 용어 비교 문제
📚 Chapter 5 핵심 개념 요약
1. 형상관리(SCM: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)란?
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**산출물(코드, 문서 등)**의 변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
→ 누가, 언제, 무엇을, 왜 바꿨는지 추적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 목적
2. 형상관리의 주요 목적
- 개발 산출물의 무결성 유지
- 동시 작업 시 충돌 방지
- 변경 내용 이력 관리 (버전 관리)
- 개발 전반의 일관성 유지
3. 형상관리 대상 (형상 항목)
- 소스코드, 실행파일, 설계서, 요구사항 명세서 등
→ 모든 소프트웨어 관련 산출물이 관리 대상
4. 형상관리 활동 구성
- 형상 식별: 관리할 대상을 정의하고 이름 부여
- 형상 통제: 변경 요청이 발생했을 때 승인 절차 수행
- 형상 감사: 변경 내역이 올바르게 반영되었는지 검토
- 형상 기록: 모든 이력을 문서화 (로그 기록 등)
5. 변경관리(Change Control)란?
소프트웨어 변경 요청을 검토·승인·추적하는 절차
→ 형상관리에 포함되는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음
📌 핵심 차이 요약
6. 버전 관리의 개념 (Git 등)
- 코드나 문서를 버전별로 저장하고,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함
- 대표 도구: Git, SVN, CVS 등
- Git에서는 커밋(commit), 브랜치(branch), 병합(merge) 등을 통해 형상관리 수행
💡 자주 나오는 시험 유형
- 형상관리 vs 변경관리 비교
- 형상관리 활동 중 하나를 설명하거나 사례 제시
- 버전 관리 도구의 역할
- “누가, 언제, 무엇을, 왜 바꿨는가”를 관리하는 활동은 무엇인가?
🎯 교수님이 강조한 포인트
- 형상관리의 핵심은 이력 추적과 무결성 유지
- 변경관리는 변경 요청이 발생했을 때 승인과 검토를 거친다는 점
- Git 사용 경험과 형상관리 개념을 연결해서 이해할 것
📌 내 오답노트 & 복습 포인트
- 형상관리 = 코드 관리로만 오해함 ❌ → 문서, 명세서도 포함
- 변경관리를 단순히 “파일 수정”으로 착각함 ❌
- “SCM은 변경을 막는 것”이라는 오개념 → ❌ SCM은 변경을 ‘관리’하는 것
📝 마무리 요약
- 형상관리는 모든 개발 산출물의 변경을 이력으로 남기고 통제하는 시스템
- 변경관리는 변경 요청을 승인·기록·반영하는 절차
- Git을 통한 커밋, 브랜치, 머지는 형상관리의 실제 구현 방법!
📘 다음 편 예고
《전공이 밥 먹여준다믄 - 소프트웨어공학 Chapter 6 정리》
테스트와 디버깅, 소프트웨어 품질을 높이는 마지막 단계
'🍚전공이 밥 먹여준다믄 > 📕 소프트웨어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07. 디자인 패턴 정리 (0) | 2025.05.15 |
---|---|
Chapter 6 정리 - 테스트와 디버깅, 소프트웨어 품질의 완성 (0) | 2025.05.12 |
Chapter 4 정리 - 프로젝트 관리, WBS, 간트 차트 쉽게 정리하기 (0) | 2025.05.12 |
Chapter 3 정리 - 요구사항과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쉽게 정리하기 (0) | 2025.05.12 |
Chapter 2 정리 -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완전 정복 (0) | 2025.05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