📊 ADsP 실시간 기록
📊 ADsP 실시간 기록 | 1일차 – 데이터의 시대를 여는 기본기
code.with.siyeon
2025. 6. 28. 20:01
📅 2025년 5월 19일 (1일차)
🎓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(ADsP) 자격과정 실시간 기록
✨ 오늘의 주제
“데이터가 무엇인지, 어떻게 정의되고, 어떤 가치를 지니는가?”
ADsP의 시작은 데이터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에서 출발했다.
처음이라 그런지 양이 많았지만, 전반적인 흐름을 잡는 데 집중했다.
🧩 오늘 배운 핵심 내용
✅ 1. ADsP란?
-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
- 데이터를 활용해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의 전문성 요구
- 실무적 감각 + 기획력 + 기본 분석 도구 지식이 요구됨
✅ 2. 데이터의 정의 및 유형
- 데이터: 사실이나 개념을 코드로 표현한 것
- 정형 데이터: 엑셀, DB 등 구조화된 데이터
- 비정형 데이터: 영상, SNS, 로그 등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
✅ 3. 암묵지 vs 형식지
구분 | 설명 | 예시 |
형식지 | 문서화 가능, 전달 쉬움 | 매뉴얼, 보고서 |
암묵지 | 경험 기반, 전달 어려움 | 노하우, 직관 |
📌 형식지는 자동화에 유리, 암묵지는 인간 경험 기반이라 해석에 깊이 필요
✅ 4. DIKW 계층구조
- Data → Information → Knowledge → Wisdom
- 단순한 데이터도 맥락과 목적이 생기면 정보, 지식, 지혜로 발전
✅ 5.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
- DBMS: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(Oracle, MySQL 등)
- 스키마: DB의 구조를 정의하는 틀
- 테이블/레코드/필드: 관계형 데이터의 기본 단위
- 정규화: 데이터 중복 최소화, 일관성 확보
✅ 6. 빅데이터와 그 가치
🔍 빅데이터란?
- 규모(Volume), 다양성(Variety), 속도(Velocity)로 정의되는 대용량·고속 데이터
🧭 출현 배경
- IoT, 스마트폰 보급, 클라우드, 소셜미디어 등
→ 전방위적 데이터 폭증
🌍 사회적 영향
- 의사결정 자동화, 개인화 추천, 정책 수립, 산업 혁신 등
→ 데이터가 곧 권력과 경쟁력이 되는 시대
💡 오늘의 느낀 점
- “데이터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.”
오늘 강의의 핵심 메시지는 이 말로 요약될 수 있다. - 암묵지와 형식지를 구분하며, 데이터가 정량뿐 아니라 정성적 해석도 필요하다는 점이 인상 깊었고,
DIKW 구조는 단순 데이터가 어떻게 인사이트가 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줬다. - 실무에서 접했던 DB 용어들이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연결되면서,
내가 프로젝트에서 다뤘던 DB 구조와 연결되어 더 명확하게 이해됐다.